본문 바로가기

시조감상(창)

(23)
우시조-나비야 청산가자 음원출처: 한국정가원 자유게시판 우시조-나비야 청산가자 작사-작자미상 창-석암 정경태 나비야 청산가자 범나비 너도가자 가다가 저물어든 꽃에들어 자고가자 꽃에서 푸대접하거든 잎에서나 (자고가자)
[참고]반각시조-일년이 열두달인데 음원출처: 한국정가원 자유게시판 반각시조-일년이 열두달인데 작사 : 작자미상 창-석암 정경태 일년이 열두달인데 윤삭들면 열석달도 일년이라 한달은 서른날인데 그달이 작으면 스므아흐레 그믐도 한달이라 지금에 해가고달가고 봄가고 임갔는데 옥창앵도 붉었으니 원정부지이별인저
[참고]사설시조-범피중류 둥덩실 떠나갈제 사설시조-범피중류 둥덩실 떠나갈제 작사-작자미상 창- 송석 조남규 汎彼中流 둥덩실 떠나갈제 茫茫한 滄海이며 蕩蕩한 물결이라 白蘋洲 갈매기는 紅蓼岸에 날아든다 三湘의 기러기는 漢水로날고 寥亮한 남은소리 漁笛이언마는 曲終人不見 數峰만 푸르렀다 欸乃聲中 萬斛愁는 이내 胸襟을 자아낸다 煙波江上 使人愁라 묻노라니 汨羅水야 屈三閭 魚腹忠魂 그무양턴가 범피중류 둥덩실 떠나갈제 망망한 창해이며 탕탕한 물결이라 백빈주 갈매기는 홍료안에 날아든다 삼상의 기러기는 한수로날고 요량한 남은소리 어적이언마는 곡종인불견 수봉만 푸르렀다 애내성중 만곡수는 이내 흉금을 자아낸다 연파강상 사인수라 묻노라니 멱라수야 굴삼려 어복충혼 그무양턴가
[참고]사설시조-어화 靑春少年들 음악자료출처-한국정가원 자유게시판 사설시조-어화 靑春少年들 작사-작자미상 창-석암 정경태 어화 靑春少年(청춘소년)들 이내말을 들어보소 虛送歲月(허송세월) 하지말고 밭갈고 글을읽어 修身齊家(수신제가) 할지어다 萬古聖人(만고성인) 舜(순)임금은 歷山(역산)에 밭을갈아 父母奉養(부모봉양) 하옵시고 天下文章(천하문장) 李謫仙(이적선)도 匡山(광산)에 글을 읽어 名傳千秋(명전천추) 하였으니 하물며 우리人生(인생)이야 時乎時乎(시호시호) 不再來(부재래)라 聖賢文章(성현문장) 本(본)을받아 晝耕夜讀(주경야독) (하오리라)
평시조-이화에 월백하고 평시조-이화에 월백하고 작사-이조년 창-송석 조남규 梨花에 月白하고 銀漢이 三更인제 一枝春心을 子規야 알랴마는 多情도 病인양하여 잠못들어 (하노라) 이화에 월백하고 은한이 삼경인제 일지춘심을 자규야 알랴마는 다정도 병인양하여 잠못들어 (하노라)
[참고]반각시조-초당에 곤히든잠 반각시조-초당에 곤히든잠 작사-작자미상 창-송석 조남규 초당에 곤히든잠 학의소리 놀라깨니 학은적적 간곳없고 들리난이 물소리라 아희야 긴낚싯줄설설풀어 연당에 던지어라 고기낚기 (하리라)
[참고]평시조-천지는 만물지역려요 평시조-천지는 만물지역려요 작사-작자미상 창-송석 조남규 천지(天地)는 만물지역려(萬物之逆旅)요 광음(光陰)은 백대지과객(百代之過客)이라 인생(人生)을 헤아리니 묘창해지(渺滄海之) 일속(一粟)이로다 두어라 약몽부생(若夢浮生)이니 아니놀고 (어이리)
여창질음-기러기 산이로잡아 여창질음-기러기 산이로잡아 작사 : 작자미상 창 : 송석 조남규 기러기 산이로잡아 정들이고 길들여서 임의집 가는길을 역력히 가르쳐주고 밤중만 임생각날제면 소식전케(하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