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20)
시조의 창법과 음계 시조창은 수많은 시조시를 얹어 부를 수 있는 악조로서 가곡음과 달리 초장. 중장. 종장의 삼장으로 구분되어 의젓하고 정대한 율조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시조창은 가곡의 경우와는 달리 사설의 종결사인 「하노라」「어이리」「하느니」등의 서 자는 생략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평시조의 음계는 황종(黃鐘)과 중려(仲呂) 두음을 기본으로 하는 계면조의 음악이다. 경제 평시조의 초장 끝 장단 8박에서 노래는 (궁자리)에서 그치고 여음(餘音)의 반주만 이어지며 중장 끝에 장단 8박에서도 노래는 4박(궁자리)에서 그치고 여음의 반주만 이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형태는 유예지와 구라철사금보인 옛 시조보의 고법을 이어받고 있는 것이며 또한평시조의 중장 둘째 장단 8박중 4박자 ?ㄴ에서 5박자 반까지 (1박)을 종장 첫째 장단 ..
시조 창의 종류 시조 창의 종류 1) 평시조 시조 유형의 하나. 약간 융통성 있는 정형시로서 3장 6구로 되어 있는데, 각 구는 대개 7자 내외이며 그 기본 음수율은 다음과 같다. 초장 3.4.3(4).4, 중장 3.4.3(4).4, 종장 3.5.4.3. 보통 시조라고 하면 대개 이 평시조를 가리킨다. 시조의 원형은 평시조이다. 우예지 시절에는 시조(현재의 평시조)한 곡뿐이었고, 그 뒤에는 삼죽금보에 이르러 시조(현재의 평시조)와 소이시조(騷耳時調:현행의 지름시 조) 두 곡으로 늘어난다. 이러한 평시조는 모든 시조창의 근본으로서 단일 곡으로 '시조'라 일컬어지던 것이 오랜 세월을 지내면서 많은 변화와 발전으로 여러 종류의 시조로 파생되었다. 이런 시조창의 기본이라는 뜻의 '평화한 시조'란 뜻에서 '평시조'라 했다. 이 ..
율하 김남식 님의 시조 이야기 글에 대한 생각 율하 김남식 님이 무동문학 시조방에 시조 이야기/ 율하 김남식(원본 글보기) 글을 올려주셨습니다 시조를 아시는, 아시고자 하시는 분들의 이해를 돕고자 부족하나마 저의 생각을 피력합니다 꼬리 말로 올리려다 조금 길어질 것같아 댓글로 올리는 점 양해 바랍니다 시조의 발생 시기에 대한 이야기는 여러 학설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만 발생 근원을 살펴보면 음악의 한 부분으로 파생되었다는 사실은 누구나 공감하는 사안입니다 노래를 하기 위한 가사(노랫 말)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있습니다 그러므로 저는 시조는 기본적으로 노래가 되어야한다고 말합니다 그렇다고 흔히 유행가 가사가 되어서는 곤란하며 노래는 노래이되 천박하지 아니하고 어긋나지 아니하며 짜임새(형식)있는 노래 그러면서 뭔가 비젼과 메시지를 제시할 수있다면 금..
시조의 세계화와 번역 오늘은 시조의 세계화와 시조 번역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보고자 합니다 얼마 전 시조전문지 시조월드(12호 2006년 상반)을 받아 보았습니다 책을 받자마자 월드 논단에 게재된 논문들을 훑어보았습니다-시조월드에서 그나마 관심을 가지고 읽는 부분이 논단 페이지입니다- 그 중에서 장경렬 교수의 '시조의 영역을 위한 하나의 시론(試論)'이라는 논문을 주의깊게 읽어 보았습니다 논문의 내용을 요약하면 시조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지금의 번역 행태는 바람직하지 않으며 중국의 한시, 일본의 하이쿠의 번역 실례를 들어가며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권역의 사람들이 거부감 없이 받아 들여질 수있는 번역 방법이 시조에도 필요하다는 논지였습니다 장경렬 교수는 논문에서 우리 전래의 시조는 정형시이기에 정형의 틀을 고수하는 것이 바람직..
시조의 창과 율독 시조의 창과 율독 이번에는 시조의 창과 율독에 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정통의 시조는 음악과 연관된다는 말씀을 드렸습니다 그렇습니다 창(唱)의 가사로서 율독의 시가(詩歌)로서 이루어진 시조야 말로 제대로 된 시조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문제가 발생합니다 시조는 불리워져야 시조로서 존재 가치를 느낄 수 있을 터인데 교육과 환경이 달라져 청자(聽者)들의 인식과 취향이 예전에 비해 많이 바뀌어 버린 것입니다 즉, 시조를 이해 하고 향유하려는 사람들이 사라진 것입니다 -요즘도 취미삼아 시조창을 공연하고 즐기는 경우는가끔 있습니다만 한계를 보입니다 - 우리 전통 문학과 음악을 세계에 알리기 위한 노력도 필요하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요즘 젊은 세대나 자라나는 세대로 하여금 우리 전통에 대한 관심과 생..
시조의 정통성 시조의 정통성 시조가 이땅에 뿌리내려 면면히 이어온 지도 어언 칠백년이 흘렀습니다 생각해 보면 그동안 무수한 겨레의 시가가 시대에 따라 유행하였지만 지금도 창작되고 불리워지는 것은 시조가 유일한 것이라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작금에 창작되어지는 현대시조라는 것을 보면 대부분 도무지 시조라고 이름 붙일 수 없는 작품(?)들이 시조란 이름으로 버젓이 행세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시조란 말 그대로 시조의 모습으로 존재할 때 시조로서의 가치와 의의가 있다고 말할 수 있는 것 아니겠습니까? 그럼 시조의 모습이란 도대체 어떤 것인가? 라고 반문할 것입니다 저는 당연히 정통을 지켜나가는 것이 올바른 시조의 모습이다라고 말을 하겠습니다 그리고 정통이란 오랜기간 이어져 오며 체계화된 형식과 내용을 ..
시조의 형식과 구성 시조의 형식과 구성 역시 같이 공부하는 마음으로 시조를 배우시고자 하는 분들을 위해 잠시 시조의 형식(구성)에 대해 적습니다 아시다시피 흔히 시조는 3장6구12음보로 이루어진다고 하지요 줄여서 3장6구라고도 합니다 3장은 초장, 중장, 종장으로 이루어지며 각 장은 두 개의 구로 이루어집니다 또한 한 구는 2음보로 이루어지지요 그리하여 3장 6구 12음보라는 정형시가입니다 시조에 기본 자수율로 말씀드리면 자수율이(자수라 함은 음절 수를 말함) 초장: 3, 4, 3, 4 중장: 3, 4, 3, 4 종장: 3, 5, 4, 3 입니다 여기서 종장 첫 구의 첫 음보는 3자 고정이며 둘째 음보는 5자 이상입니다 (단 9자이내, 보통 7자 이내로 함) 여기에 다른 장의 구의 음보마다 1 , 2자 정도 가감하여 시조를..
시조에 관한 문답 시조에 관한 문답 1.시조가 무엇이지요? -시조는 700 여 년 이상을 이어져 온 우리민족 고유의 전통 문학으로 현재에도 창작되고 있는 음보율로 정형화된 時歌 입니다 2.시조 형식은 어떠한 것이죠? -3장(초장, 중장, 종장)으로 구성되어 각 장마다 15자 내외로 한 수가 45자 내외로 이루어진 형식입니다 3.3장으로 구성된다 하셨는데 장은 무슨 뜻인가요? -장이란 말은 원래 시조가 창사(창의 가사격)로 쓰여지다 보니 음악적 용어입니다만 요즘에는 문장의 뜻으로 쓰입니다 4. 오래 전 학창 시절에 시조라고 한 두수 잠깐 배우고 들은 적이 있습니다만 시조는 모두 그런 것인가요 고리타분하던데...? -예전 학창시절에 배운 시조는 한 단면에 지니지 않습니다 요즘 표현으로 고시조 일부가 주를 이루었으며 그외 과도..